GTCI2017

GTCI2017

 

재능과 기술에 초점을 맞춘 2017년 세계 재능경쟁력 지수: 상위권을 차지한 스위스, 싱가포르, 영국

첫 세계도시 순위: 상위권을 차지한 코펜하겐, 취리히, 헬싱키, 샌프란시스코

 

퐁텐블로 (프랑스), 싱가포르, 취리히, 2017년 1월 16일: 경영대학원 인시아드(INSEAD)는 오늘 세계 재능경쟁력 지수(GTCI)의 제4판을 발표했다. 아데코 그룹, 싱가포르 인적 자본 리더십 연구소와의 제휴를 통해서 개발된 GTCI는 각 국가들의 재능 경쟁력을 측정하는 연례 벤치마킹 보고서이다.

 

GTCI는 국가가 어떻게 인재를 양성하고 유치하고 보유함으로써 결정 책임자들이 재능 경쟁력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지를 측정한다. 이번 GTCI 제4판의 주제는 ‘재능과 기술: 미래직업의 형성’이다.

 

2017년 보고서는 기술변화가 재능 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한편 모든 일자리들이 계속해서 기계로 대체되는 반면에 기술을 통해서 새로운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람과 조직은 기술 노하우, 인간의 기술, 유연성, 협력 등이 성공의 열쇠가 되고 수평적 네트워크가 새로운 리더십의 규범으로서 수직적 위계질서를 대체하고 있는 업무환경에 적응할 필요가 있다.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협력을 통해서 이러한 목적에 맞는 교육제도와 노동시장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2017년 GTCI에서는 스위스와 싱가포르가 정상을 차지했으며 10위 안에는 북유럽 4개국(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도 포함되었다. 영국과 미국은 각각 3위와 4위에 랭크 되었다.

 

세계 재능경쟁력 지수 2017 순위: 상위 10위

 

1 스위스 6 호주
2 싱가포르 7 룩셈부르크
3 영국 8 덴마크
4 미국 9 핀란드
5 스웨덴 10 노르웨이

 

상위를 차지한 국가들은 경제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교육제도, 유연성과 이동성, 기업가정신을 우선시하는 고용정책, 기업과 정부에서의 이해관계자들의 높은 연계성 등을 포함한 주요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다.

 

 

인시아드의 일리안 미호프 학장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이번 제4판의 발간으로 GTCI 보고서는 처음 시작했을 때 우리가 목표로 삼았던 국제적 인지도를 획득했습니다. ‘기술과 재능’에 초점을 맞춘 올해의 보고서는 세계경제가 직면하게 될 주요 난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새로운 일자리 기회의 창출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결합하는 한편 새로운 세대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가치를 반영하는 세계 속에서 일하면서 살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 보고서가 강조하고 있듯이 교육은 이와 같이 복합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여전히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인시아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능과 리더십의 산실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자 합니다.”

 

인시아드의 세계지수 운영이사이자 이 보고서의 공동편집자인 브루노 랑방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기술은 우리가 생활하고 일하는 방식에 변화를 가져다 주고 있습니다. 물론 항상 혁명적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예컨대 널리 보급된 인터넷의 등장, 사물 인터넷(예를 들어 자율주행차), 일상적인 원거리 가상 업무팀 등은 매우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눈에 잘 띠지 않습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것이 직업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마크 트웨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직업의 종말에 대한 뉴스는 상당 부분 과장된 것입니다. 앞으로 재능 준비도와 재능 경쟁력이 어느 나라가 기술발전을 일자리 창출에 활용하는 경쟁에서 앞서 나갈 것인지를 판가름하게 될 것입니다.”

 

인시아드의 인적 자원 및 조직개발 셸 석좌교수 및 명예교수이자 세계 재능경쟁력 지수 학술이사 및 공동편집자인 폴 에반스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일상적인 업무는 알고리즘과 기계로 대체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것은 혁신적인 업무에 대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합니다. 그러나 산업시대에 뿌리를 두고 있는 현재의 학교제도에서 우리의 아이들은 창의성과 계획 대신에 일상업무를 준비하는 교육을 받고 있으며 또한 한 사람이 평생 동안 여러 개의 직업을 수행하게 되는 앞으로의 세상에서 요구되는 학습방법의 학습이라는 사고방식을 증진하는 데에도 등한시하고 있습니다.”

 

아데코 그룹의 CEO인 알랭 디하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자동화와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은 우리가 일하고 생활하는 방식에서 가장 혁신적인 변화의 원천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도기는 결코 순탄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정부와 기업이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적절한 기술과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려면 교육제도 개혁이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이제 여러 개의 직업을 갖는 것이 일반화되었기 때문에 근로자들은 평생교육을 통해서 자신의 취업 가능성을 높여야 합니다. 이와 동시에 고용정책은 유연성에 대한 고용주들의 요구와 사회적 보호를 결합해야 합니다. 우리는 오로지 협력을 통해서만 이러한 도전에 대처하고 직업의 힘을 이끌어내고 번영을 증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적 자본 리더십 연구소의 CEO인 수옌 왕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기술은 직업의 특성과 구조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직업이 끊임 없이 진화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서는 최고 수준의 기술적 역량을 지닌 직원들이 아니라 학습과 현장 재학습 능력을 갖춘 직원들이 선호됩니다. 앞으로 많은 직원들이 자기 자신을 재창조하지 못한다면 기술 및 구조적 실업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정부와 기업 모두 인적 자본의 힘을 활용하기 위해서 근로자들에게 평생학습 문화를 심어주는 한편 필요한 기술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을 배울 수 있게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재능 경쟁력을 갖춘 견고한 생태계, 도시, 지역 등에서 성공적인 변화가 일어날 확률이 가장 높다. 재능 경쟁력을 갖춘 국가들은 그렇지 못한 국가들보다 더 높은 재정적 독립성과 경제성장률을 누리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더욱 기민한 의사결정과 혁신적인 브랜딩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올해에는 첫 세계도시 재능경쟁력 지수(GCTCI)가 수립되었다.

 

GCTCI 제1판에는 46개의 도시가 포함되었으며 이중에서 1위는 코펜하겐이 차지했고 그 뒤로 취리히와 헬싱키가 2위와 3위에 랭크 되었다. 10위 안에 포함된 미국 도시로는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가 각각 4위와 8위를 차지했다. 12위와 19위를 기록한 시드니와 싱가포르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선도하고 있다. 반면에 도시의 재능 성과는 여러 가지 측면들에 걸쳐서 측정되었으며 10위 안에 든 모든 도시들은 높은 삶의 질, 연결성, 국제적 노출과 직업에 대한 높은 수준의 기회 등을 지니고 있다.

 

Global Cities Talent Competitiveness Index 2017 Rankings: Top Ten

세계도시 재능경쟁력 지수 2017 순위: 상위 10위

 

1 코펜하겐 6 마드리드
2 취히리 7 파리
3 헬싱키 8 로스앤젤레스
4 샌프란시스코 9 더블린
5 예테보리 10 아인트호벤

 

 

GCTCI 보고서 특별섹션의 저자인 브루노 랑방은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비록 올해 발표된 GCTCI의 첫 버전이 앞으로 개선될 여지가 많긴 하지만 인재들이 국가에서 국가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도시에서 도시(종종 다른 나라의 도시)로도 이동하는 세상에 대한 그림을 생생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는 재능 경쟁에 있어서 글로벌 행위주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첫 GCTCI 순위는 샌프란시스코, 마드리드, 파리 등과 같은 대도시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긴 하지만 코펜하겐, 취리히, 예테보리, 더블린과 같은 중소도시들도 주목해야 할 경쟁자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도시들에서 우수한 인재들은 훌륭한 직업기회와 뛰어난 연결성(브로드밴드와 교통), 자신과 가족을 위한 높은 삶의 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지수에 포함된 국가들을 분석하면 아래와 같은 몇 가지 패턴과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         기술과 초연결성이 직업의 특성을 바꾸고 있다: 이것은 인구통계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들과 더불어서 더욱 독립적이고 분산되어 있는 노동력의 등장을 이끌고 있다. 전통적인(임금) 고용에 기반한 환경에서 미국과 유럽의 노동인구 중 30%가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에 이제 유연성은 우리 시대의 표어가 되었다.

 

·         우리는 자동화 이후를 생각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기술에 관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사회, 조직, 직업, 교육, 고용 등의 큰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조직은 점점 더 수평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로 변하고 있고 성과와 협력이 권위와 위계를 압도하고 있다. 그리고 ‘다-직업’이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         혁신은 점점 더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테크닉적 기술인 PLUS 사회/계획 역량이 새로운 재능 프로필의 핵심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젊은 사람들은 창의성, 문제해결 능력, 소통기술과 더불어서 ‘학습방법의 학습’을 통해서 역량을 키워야 한다. 학교의 교과과정은 도제제도와 같이 업무중심의 훈련기회를 포함해서 실무와 계획에 기반한 접근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게다가 다-직업 시대에서는 평생학습이 필수이다.

 

·         교육정책과 노동시장 정책이 변화의 핵심이다: 정부, 기업, 학교 간의 협력이 교육제도의 빠른 개혁을 보장하는 한편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사회보호를 결합한 고용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         GCTCI의 첫(베타) 버전은 여러 도시들이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어떻게 경쟁하고 있는지를 나타내주는 특별한 그림을 제시하고 있다: GCTCI의 상위권에는 여러 중소도시들이 포함되어 있다(상위 10개 도시 중 7개 도시의 인구가 400,000명 미만이다). 상위권 도시들은 두 가지 범주에서 모두 최고를 기록했다(즉 높은 삶의 질 그리고 국제적 노출과 직업에 대한 기회). 그리고 5위 안에 랭크 된 3개의 북유럽 도시들은 인재를 유치하고 보유하기 위한 일치된 전략으로 득을 입었다.

 

 

재능과 기술에 초점을 맞춘 2017년 세계 재능경쟁력 지수: 상위권을 차지한 스위스, 싱가포르, 영국

첫 세계도시 순위: 상위권을 차지한 코펜하겐, 취리히, 헬싱키, 샌프란시스코

 

퐁텐블로 (프랑스), 싱가포르, 취리히, 2017년 1월 16일: 경영대학원 인시아드(INSEAD)는 오늘 세계 재능경쟁력 지수(GTCI)의 제4판을 발표했다. 아데코 그룹, 싱가포르 인적 자본 리더십 연구소와의 제휴를 통해서 개발된 GTCI는 각 국가들의 재능 경쟁력을 측정하는 연례 벤치마킹 보고서이다.

 

GTCI는 국가가 어떻게 인재를 양성하고 유치하고 보유함으로써 결정 책임자들이 재능 경쟁력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지를 측정한다. 이번 GTCI 제4판의 주제는 ‘재능과 기술: 미래직업의 형성’이다.

 

2017년 보고서는 기술변화가 재능 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한편 모든 일자리들이 계속해서 기계로 대체되는 반면에 기술을 통해서 새로운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람과 조직은 기술 노하우, 인간의 기술, 유연성, 협력 등이 성공의 열쇠가 되고 수평적 네트워크가 새로운 리더십의 규범으로서 수직적 위계질서를 대체하고 있는 업무환경에 적응할 필요가 있다.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협력을 통해서 이러한 목적에 맞는 교육제도와 노동시장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2017년 GTCI에서는 스위스와 싱가포르가 정상을 차지했으며 10위 안에는 북유럽 4개국(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도 포함되었다. 영국과 미국은 각각 3위와 4위에 랭크 되었다.

 

세계 재능경쟁력 지수 2017 순위: 상위 10위

 

1 스위스 6 호주
2 싱가포르 7 룩셈부르크
3 영국 8 덴마크
4 미국 9 핀란드
5 스웨덴 10 노르웨이

 

상위를 차지한 국가들은 경제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교육제도, 유연성과 이동성, 기업가정신을 우선시하는 고용정책, 기업과 정부에서의 이해관계자들의 높은 연계성 등을 포함한 주요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다.

 

 

인시아드의 일리안 미호프 학장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이번 제4판의 발간으로 GTCI 보고서는 처음 시작했을 때 우리가 목표로 삼았던 국제적 인지도를 획득했습니다. ‘기술과 재능’에 초점을 맞춘 올해의 보고서는 세계경제가 직면하게 될 주요 난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새로운 일자리 기회의 창출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결합하는 한편 새로운 세대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가치를 반영하는 세계 속에서 일하면서 살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 보고서가 강조하고 있듯이 교육은 이와 같이 복합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여전히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인시아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능과 리더십의 산실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자 합니다.”

 

인시아드의 세계지수 운영이사이자 이 보고서의 공동편집자인 브루노 랑방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기술은 우리가 생활하고 일하는 방식에 변화를 가져다 주고 있습니다. 물론 항상 혁명적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예컨대 널리 보급된 인터넷의 등장, 사물 인터넷(예를 들어 자율주행차), 일상적인 원거리 가상 업무팀 등은 매우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눈에 잘 띠지 않습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것이 직업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마크 트웨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직업의 종말에 대한 뉴스는 상당 부분 과장된 것입니다. 앞으로 재능 준비도와 재능 경쟁력이 어느 나라가 기술발전을 일자리 창출에 활용하는 경쟁에서 앞서 나갈 것인지를 판가름하게 될 것입니다.”

 

인시아드의 인적 자원 및 조직개발 셸 석좌교수 및 명예교수이자 세계 재능경쟁력 지수 학술이사 및 공동편집자인 폴 에반스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일상적인 업무는 알고리즘과 기계로 대체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것은 혁신적인 업무에 대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합니다. 그러나 산업시대에 뿌리를 두고 있는 현재의 학교제도에서 우리의 아이들은 창의성과 계획 대신에 일상업무를 준비하는 교육을 받고 있으며 또한 한 사람이 평생 동안 여러 개의 직업을 수행하게 되는 앞으로의 세상에서 요구되는 학습방법의 학습이라는 사고방식을 증진하는 데에도 등한시하고 있습니다.”

 

아데코 그룹의 CEO인 알랭 디하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자동화와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은 우리가 일하고 생활하는 방식에서 가장 혁신적인 변화의 원천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도기는 결코 순탄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정부와 기업이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적절한 기술과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려면 교육제도 개혁이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이제 여러 개의 직업을 갖는 것이 일반화되었기 때문에 근로자들은 평생교육을 통해서 자신의 취업 가능성을 높여야 합니다. 이와 동시에 고용정책은 유연성에 대한 고용주들의 요구와 사회적 보호를 결합해야 합니다. 우리는 오로지 협력을 통해서만 이러한 도전에 대처하고 직업의 힘을 이끌어내고 번영을 증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적 자본 리더십 연구소의 CEO인 수옌 왕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기술은 직업의 특성과 구조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직업이 끊임 없이 진화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서는 최고 수준의 기술적 역량을 지닌 직원들이 아니라 학습과 현장 재학습 능력을 갖춘 직원들이 선호됩니다. 앞으로 많은 직원들이 자기 자신을 재창조하지 못한다면 기술 및 구조적 실업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정부와 기업 모두 인적 자본의 힘을 활용하기 위해서 근로자들에게 평생학습 문화를 심어주는 한편 필요한 기술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을 배울 수 있게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재능 경쟁력을 갖춘 견고한 생태계, 도시, 지역 등에서 성공적인 변화가 일어날 확률이 가장 높다. 재능 경쟁력을 갖춘 국가들은 그렇지 못한 국가들보다 더 높은 재정적 독립성과 경제성장률을 누리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더욱 기민한 의사결정과 혁신적인 브랜딩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올해에는 첫 세계도시 재능경쟁력 지수(GCTCI)가 수립되었다.

 

GCTCI 제1판에는 46개의 도시가 포함되었으며 이중에서 1위는 코펜하겐이 차지했고 그 뒤로 취리히와 헬싱키가 2위와 3위에 랭크 되었다. 10위 안에 포함된 미국 도시로는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가 각각 4위와 8위를 차지했다. 12위와 19위를 기록한 시드니와 싱가포르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선도하고 있다. 반면에 도시의 재능 성과는 여러 가지 측면들에 걸쳐서 측정되었으며 10위 안에 든 모든 도시들은 높은 삶의 질, 연결성, 국제적 노출과 직업에 대한 높은 수준의 기회 등을 지니고 있다.

 

Global Cities Talent Competitiveness Index 2017 Rankings: Top Ten

세계도시 재능경쟁력 지수 2017 순위: 상위 10위

 

1 코펜하겐 6 마드리드
2 취히리 7 파리
3 헬싱키 8 로스앤젤레스
4 샌프란시스코 9 더블린
5 예테보리 10 아인트호벤

 

 

GCTCI 보고서 특별섹션의 저자인 브루노 랑방은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비록 올해 발표된 GCTCI의 첫 버전이 앞으로 개선될 여지가 많긴 하지만 인재들이 국가에서 국가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도시에서 도시(종종 다른 나라의 도시)로도 이동하는 세상에 대한 그림을 생생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는 재능 경쟁에 있어서 글로벌 행위주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첫 GCTCI 순위는 샌프란시스코, 마드리드, 파리 등과 같은 대도시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긴 하지만 코펜하겐, 취리히, 예테보리, 더블린과 같은 중소도시들도 주목해야 할 경쟁자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도시들에서 우수한 인재들은 훌륭한 직업기회와 뛰어난 연결성(브로드밴드와 교통), 자신과 가족을 위한 높은 삶의 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지수에 포함된 국가들을 분석하면 아래와 같은 몇 가지 패턴과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         기술과 초연결성이 직업의 특성을 바꾸고 있다: 이것은 인구통계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들과 더불어서 더욱 독립적이고 분산되어 있는 노동력의 등장을 이끌고 있다. 전통적인(임금) 고용에 기반한 환경에서 미국과 유럽의 노동인구 중 30%가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에 이제 유연성은 우리 시대의 표어가 되었다.

 

·         우리는 자동화 이후를 생각해야 한다: 이것은 단순히 기술에 관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사회, 조직, 직업, 교육, 고용 등의 큰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조직은 점점 더 수평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로 변하고 있고 성과와 협력이 권위와 위계를 압도하고 있다. 그리고 ‘다-직업’이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         혁신은 점점 더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테크닉적 기술인 PLUS 사회/계획 역량이 새로운 재능 프로필의 핵심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젊은 사람들은 창의성, 문제해결 능력, 소통기술과 더불어서 ‘학습방법의 학습’을 통해서 역량을 키워야 한다. 학교의 교과과정은 도제제도와 같이 업무중심의 훈련기회를 포함해서 실무와 계획에 기반한 접근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게다가 다-직업 시대에서는 평생학습이 필수이다.

 

·         교육정책과 노동시장 정책이 변화의 핵심이다: 정부, 기업, 학교 간의 협력이 교육제도의 빠른 개혁을 보장하는 한편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사회보호를 결합한 고용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         GCTCI의 첫(베타) 버전은 여러 도시들이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어떻게 경쟁하고 있는지를 나타내주는 특별한 그림을 제시하고 있다: GCTCI의 상위권에는 여러 중소도시들이 포함되어 있다(상위 10개 도시 중 7개 도시의 인구가 400,000명 미만이다). 상위권 도시들은 두 가지 범주에서 모두 최고를 기록했다(즉 높은 삶의 질 그리고 국제적 노출과 직업에 대한 기회). 그리고 5위 안에 랭크 된 3개의 북유럽 도시들은 인재를 유치하고 보유하기 위한 일치된 전략으로 득을 입었다.

 

 

Our Stories

2023 Salary Guide | APAC

  아데코 APAC에서 2023년도 연봉조사서를 발간했습니다. 이 가이드는 한국을 포함한 대만, 태국, 홍콩, 호주 등 APAC 국가의 급여동향과 시장변화를 조사해서 제작되었으며, 기업의 경영전략 수립과 구직자의 취업선택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Adecco APAC has published its 2023 Salary Survey which offers unparalleled insights and expert salary analysis to help corporates and candidates to navigate the complex…

[Job Market Update] 2022 Q3

2022 – Q2 Job Market in South Korea   South Korea Labor Market Summary   South Korea has an export-oriented economy with services accounting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GDP. According to the latest statistics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KOSIS], as of June 2022,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labor force…

[Job Market Update] 2022 Q4

2022 – Q3 Job Market in South Korea Economy, Labor Market Summary According to Bank of Korea, South Korea’s economy expanded 0.3% quarter-on-quarter in the three months to September 2022, growing at the slowest pace in a year as households and businesses held back on spending amid concerns about higher costs and rising interest rates….

2023 Adecco Korea Salary Guide

다운로드 Download Now 아데코코리아 2023년 연봉조사서는 산업군별 노동시장 트렌드와 함께 연봉동향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연봉조사서를 통해 2023년 한국 채용시장 트렌드와 노동시장이 직면한 인재부족 문제와 해결방법에 대한 인사이트와 더불어, 재무·회계, 인사, 법조, 공급망·물류, 소매업, 헬스케어·생명과학, 마케팅·디지털, 공학·제조, 정보과학 산업군에 걸친 다양한 직무의 연봉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 인사 담당자는 물론 현재 이직을…

2021년도 귀속 연말정산 관련 공지사항

아데코코리아 직원의 2021년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고자 합니다. 2021년도 근로소득 연말정산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 드리오니, 참고하시어 기한 내에 소득공제 자료 입력 및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만일, 해당서류를 지연/미제출하는 경우에는 기한 내에 연말정산이 완료되지 못할 뿐 아니라, 각종 세금 공제혜택을 받지 못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세금을 부담하는 일이 발생하오니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안 내- 대  상…

(주)아데코코리아 퇴직연금 DC형 전환 안내

안녕하세요.  아데코코리아입니다.  아래와 같이 퇴직연금 DC형 전환 안내 드립니다. 1. 귀하의 무궁한 발전과 익일 번창을 기원합니다. We wish a long-term and prosperous relationship with you as an esteemed partner.   2. 당사는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여, 7월부터 DC형 퇴직연금제도 가입을 의무화 하였습니다.   Adecco Korea aims to contribute to our employees’ stable…

[Week 2] CEO for One Month, Sofie Loenseth

CEO for One Month 2주차, Sofie는 임원진들과 함께 아데코코리아의 하반기 목표를 수립하고 리더십 전략을 공유하는 Leadership Meeting에 참여하며 아데코 비지니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본인의 의견을 공유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주차 Sofie가 생각하는 Future of Work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세요!   Future@work The purpose of the Adecco group is “Making the future work…

[Week 1] CEO for One Month, Sofie Loenseth

올해 CEO for One Month로 선발된 Sofie Loenseth는 지난 6월 넷째 주 월요일 아데코코리아 첫 출근을 시작으로, 지금은 어느새 아데코코리아에서 두번째 주를 보내고 있습니다. 첫 주에 Sofie는 아데코코리아 본사에서 진행된 환영식, 임원진들과의 1:1미팅 그리고 Bryan Luro 대표님과 함께한 코트라 외투기업 미팅데이 등 다양한 내부, 외부 행사에 참가하며 바쁜 일과를 보냈습니다. ​ ​ 아래 Sofie가 작성한…

2020년도 귀속 연말정산 관련 공지사항

2020년도 귀속 연말정산 관련 공지사항 안녕하세요. 임직원 여러분의 2020년도 근로소득 연말정산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고자 합니다. 2020년도 근로소득연말정산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 드리오니, 참고하시어 기한 내에 소득공제 자료 입력 및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만일, 해당서류를 지연/미제출하는 경우에는 기한 내에 연말정산이 완료되지 못할 뿐 아니라, 각종 세금 공제혜택을 받지 못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세금을 부담하는 일이 발생하오니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데코코리아 입사지원서 양식

안녕하세요.  아데코코리아입니다.    입사지원 시, 별첨된 입사지원 양식 다운로드 후 지원부탁드리겠습니다.    입사지원양식(다운로드) 감사합니다. 아데코코리아